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서민정(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 ; 김도연(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pp.557-572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수용-전념 치료 프로그램이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정서인식과 표현, 정서표현갈등 및 부정적 신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에는 서울 소재 D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아동기 정서적 학대 경험이 있는 18명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9명씩 무선배정 되었다. 수용-전념 치료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고, 매 회기 90분씩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평가가 실시되었다. 연구결과 수용-전념 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에서는 정서인식과 정서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정서 표현 갈등과 부정적 신념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통제집단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용에 기초한 접근이 정서적 학대 경험자의 정서인식을 향상시키고 정서표현에 대한 갈등과 부정적 신념을 감소시켜 정서표현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on emotional identif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negative belief of university students with an experience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Eighteen female participants at D female university, who had experienced childhood emotional abuse,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in hal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consisted of a total of 8 sessions. Each session was conducted weekly for ninety minutes for a period of 8 weeks. For the effect analysis, both the treatment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given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assessments on emotional identification, emotional expressivenes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negative belief. Results showed that an experimental group reported a significantly higher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lower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negative belief than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emotional expressiveness by increasing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decreasing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negative belief. Finally,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were discussed.

최유연(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573-588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긍정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사회 공포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 불안, 낙관성,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북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00명에게 사회적 불안 및 회피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24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긍정 심리치료 집단에 12명, 통제 집단에 12명씩 배정하였다. 긍정 심리치료 프로그램은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모든 참가자들에게 사전, 사후, 8주 추적 검사에서 사회적 불안 및 회피 척도, 낙관성, 한국판 정적 및 부적 정서 척도, 삶 만족도 척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 심리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사회 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낙관성, 긍정 정서 및 삶의 만족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통제 집단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부정 정서는 치료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회 불안, 낙관성은 그 효과가 추적까지 유의하게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PPT) Program on social anxiety, optimism, and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with social phobia-prone. Four hundred college students who live in Jeonbuk province completed the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SADS). The 24 participants who were selected by the scale were assigned to 12 in the positive psychotherapy group and 12 in the control group. PP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SADS, Attribution Style Questionnaire,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Scale(PANAS),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at pre-treatment, post-treatment, and at 8 weeks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ocial anxiety of the therapy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optimism, positive emo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therapy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ocial anxiety, optimism, positive emotion,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control group weren't significantly changed. The effects of social anxiety, optimism were maintained up to follow-up. There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emotion between the therap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전현숙(카이스트 상담센터) ; 손정락(전북대학교) pp.589-608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가 대학생의 역기능적 분노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참여자는 프로그램에 대한 자발적인 참여의사를 밝힌 대학생 24명을 MBCT집단, 대기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할당하였다.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는 매주 1회 2시간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전반부(1-4회)에는 마음챙김을 수행하고 분노와 관련된 심리적 현상을 자각하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후반부(5-8회기)에는 마음챙김을 통해 분노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었다.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집단에 참여하여 사후검사를 받은 대학생은 9명이었고, 대기통제집단은 10명이었다. 연구 결과,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분노억제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분노표출과 특성분노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반복측정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분노반추는 마음챙김과 분노표출, 마음챙김과 분노억제, 마음챙김과 특성분노와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on dysfunctional anger and also to investigate the repeated measure mediated effects of anger rumination on dysfunctional anger. Half of the twenty four undergraduate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group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whereas the other half were assigned to the waiting control group. Both of these groups participated in a voluntary program.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iss composed of eight sessions administered every week, lasting two hours per session. The first part of the program(1-4 sessions) is focused on the fact that subjects have a mindfulness meditation and are aware of the psychological symptoms associated with anger. The latter of the program (5-8 sessions) is focused on improving the ability to control anger through mindfulness. The number of undergraduate students who completed the assessment at termination was 9 in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nd 10 in the waiting control grou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reatment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a lower score level of anger-out and trait ang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o significant changes have occurred regarding the level of anger-in. Secon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nger rumination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ndfulness and dysfunctional anger.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provide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박누리(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609-642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0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severity of Binge Eating Disorder (BED)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obesity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on BED-prone college students. To do this, the following scales were used: Binge Eating Scale, Rosenberg Self-Esteem Scale, Social Discomfort Scal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and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Study I investigated pathological eating behaviors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in three different groups: two obese groups with and without BED and a healthy control group. Ten participants for each group were selected: two obese groups among 50 obese women from a weight clinic in South Korea and the healthy control group with normal weight among a college population in South Korea. The findings showed that BED patients had more pathological eat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an the other two groups. Most BED patients want weight-loss treatment when they seek help. However, the study suggests that treatment for BED should first be directed at the disordered eating and associated psychopathology rather than the obesity itself, even though BED patients are found in obese population. In Study II, 24 BED-prone college students among 600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CBT(eight weekly sessions during active treatment) or to no-treatment control group. At the end of the active treatment, binge eating was significantly reduced among those actively treated relative to those on no-treatment control group. Furthermore, CBT produced significant or at least margin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psychological variables (self-esteem, impulsiveness, and social discomfort) relative to baseline, and they even improved more at the 6-week follow-up. The results support the efficacy of CBT as a preventive intervention for BED-prone college students. In spite of its several limitations, the present study clarifies the distinctiveness of BED from obesity in psychological factors along with pathological eating problems and recommends CBT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BED-prone individuals.

박누리(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손정락(전북대학교 심리학과) pp.609-64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폭식장애의 심각성이 일반 비만과 상이함을 검증하고, 인지행동집단치료가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들에게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해 사용된 척도들은 다음과 같다: 폭식척도,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 사회적 불편감 척도, Baratt 충동성 척도 및 Dutch 식이 행동 질문지. 연구 1에서는 세 집단 (폭식장애가 있는 비만집단, 폭식장애가 없는 비만집단 및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심리적 문제 및 병리적 섭식 행동을 조사하였다. 비만인 피험자는 비만 치료센터에 있는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와 면접을 통해 폭식장애가 있는 비만집단과 폭식장애가 없는 비만집단에 각각 10명씩 선발하였다. 통제집단은 정상체중의 대학생 10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폭식장애가 있는 비만집단이 다른 두 집단보다 더 심각한 심리적 문제 및 병리적 섭식 행동을 보고하였다. 대부분의 폭식장애 환자들이 치료를 받으려 할 때 심리치료가 아니라 체중조절 치료를 원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비록 섭식장애가 비만인 전집에서 주로 발견됨에도 불구하고, 치료에 있어서 비만 그 차체보다는 먼저 병리적 섭식과 그와 관련된 심리치료에 초점을 맞춰야 함을 제안한다. 연구 2에서는 600명의 남녀 대학생 중에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24명의 대학생을 인지행동치료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8회기 동안의 치료 후에, 인지행동치료집단의 폭식행동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더욱이, 모든 심리적 변인들에 있어서 인지행동치료집단은 치료 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 6주 후 추적조사 때는 더 향상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폭식장애가 있는 대학생을 위한 예방적 중재로써 인지행동치료의 효과를 지지한다. 한계점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병리적 섭식 문제와 심리적 요인들에 있어서 섭식장애가 비만과 구별됨을 명확히 하고 폭식장애 경향이 있는 대학생들을 위한 효율적 치료로써 인지행동치료를 제안한다.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severity of Binge Eating Disorder (BED) is different from that of general obesity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on BED-prone college students. To do this, the following scales were used: Binge Eating Scale, Rosenberg Self-Esteem Scale, Social Discomfort Scale, Barratt Impulsiveness Scale and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Study I investigated pathological eating behaviors as well as psychological distress in three different groups: two obese groups with and without BED and a healthy control group. Ten participants for each group were selected: two obese groups among 50 obese women from a weight clinic in South Korea and the healthy control group with normal weight among a college population in South Korea. The findings showed that BED patients had more pathological eating behaviors and psychological distress than the other two groups. Most BED patients want weight-loss treatment when they seek help. However, the study suggests that treatment for BED should first be directed at the disordered eating and associated psychopathology rather than the obesity itself, even though BED patients are found in obese population. In Study II, 24 BED-prone college students among 600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CBT(eight weekly sessions during active treatment) or to no-treatment control group. At the end of the active treatment, binge eating was significantly reduced among those actively treated relative to those on no-treatment control group. Furthermore, CBT produced significant or at least margin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psychological variables (self-esteem, impulsiveness, and social discomfort) relative to baseline, and they even improved more at the 6-week follow-up. The results support the efficacy of CBT as a preventive intervention for BED-prone college students. In spite of its several limitations, the present study clarifies the distinctiveness of BED from obesity in psychological factors along with pathological eating problems and recommends CBT as an effective treatment for BED-prone individuals.

남전아(강남세브란스병원) ; 채규만(성신여자대학교) pp.643-657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가 청소년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충동성의 매개효과와 모 애착의 중재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도박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개입할 수 있도록 도움이 되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한 중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이었으며, 총 회수된 설문지는 405부였으나, 부실응답 설문 70부를 제외한 총 335명의 응답이 조사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척도의 신뢰도 검사와 빈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단순회귀분석, 위계적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도박행동의 정도를 살펴본 결과, 조사대상 청소년은 ‘월 1회’ 지속적으로 도박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박 경험률은 92.5%였다. 둘째, 각 변인의 상관분석 결과, 스트레스와 충동성은 청소년의 도박행동과 유의미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모 애착은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나 유의미한 정도는 아니었다. 셋째,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중 가족 요인과 물질 요인이 도박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충동성의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충동성이 스트레스와 도박행동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였다. 다섯째, 모 애착의 중재효과를 검증한 결과, 모 애착의 하위 요인 중 신뢰감은 중재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소통과 소외감의 중재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과들을 종합하여 볼 때 스트레스가 충동성을 높이고, 이것이 다시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모와의 신뢰감이 중재효과를 보였다. 청소년 도박문제에 대한 예방 및 개입 시 개인 내적인 위험변인에 대한 고려 뿐 아니라 스트레스 관리, 부모상담 등 다각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impulsiv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other attach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ist adolescent gambling to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intervened. The subjects include students recruited from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The total data collected from 405 students, however, only data from 335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by using the SPSS 12.0 Statistic Program: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have been calcul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that review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extent are the same as the following. Tested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was found in over five experiences and it also shows that adolescents go gambling 1 time a month. Through this result, though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is not at a serious level, most students have experienced such type of gambling behavior. Second,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and impulsiveness. Moreover, th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is not indicated in mother attachment. Third, some subcategories of stress(family factor, money factor) show an effect on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Fourth, impulsiveness presents a completion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adolescent's gambling behavior. Fifth, in the subcategories of mother attach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i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adolescent gambling behavior is significant.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nd alienation are not significant.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the adolescent gambling problem and intervention.

박보경(한동대학교) ; 신성만(한동대학교) ; 이혜주(한동대학교) pp.659-676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한국게임산업진흥원 게임백서(2008)에서 분류한 인터넷 게임종류를 기초로 선호하는 인터넷 게임종류에 따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 및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기통제력 수준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선호하는 인터넷 게임종류에 따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을 예측하는 변인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현재 경북 P시와 경남 B시에 위치하고 있는 남녀공학 중학교 4곳의 중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734명이었고, 인터넷 게임중독척도, 부모-자녀 의사소통척도, 자기통제력척도가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호하는 인터넷 게임종류에 따라 인터넷 게임중독과 그 하위요인 모두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1인칭 슈팅게임의 경우 인터넷 게임중독과 그 하위요인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통제력과 그 하위요인 중 충동성, 신체활동선호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1인칭 슈팅게임의 경우 자기통제력과 그 하위요인의 점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선호하는 인터넷 게임종류에 따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중독을 예측하는 변인에는 시뮬레이션게임을 제외한 모든 인터넷 게임종류에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청소년이 선호하는 인터넷 게임종류별로 각기 다른 심리사회적 요인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과 치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out if there are any variables to predict internet game addiction through research of the level of teenage Internet game addiction,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control according to the preferred types of Internet Games. The research targets were 734 9thgrade students of four different co-ed Middle schools located in“P”city in KyungBuk, and “B”city in KyungNam. The survey used the Child and Teenage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and Self-Control Sca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its subordinate factor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preferred internet game. First person shooting games scored the highest in Internet game addiction. Second, in the Self-control and its subordinate factors, there were differences in impulsion and preferred physical activity. Self-control and its subordinate factors were lowest in first person shooting games. Third, there were no apparent differences in the case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ourth, among the variables in predicting teen internet game addiction, according to preferred internet game, there were differences in all types of internet games except for simulation games. This research was an attempt to confirm that there can be different addiction conditions based on teen preferred Internet game types, and its significance in the face that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efforts to prevent internet game addiction.

정경미(연세대학교) ; 양슬기(연세대학교) pp.677-695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한국어판 소아용 삶의 질 검사(PedsQLTM) 4.0 일반형의 표준화를 실시하였다. 8-18세 정상발달 아동 및 청소년(N=3353) 및 소아암 치료 후 서울 소재대학병원에 방문한 아동 및 청소년(N=178)에게 PedsQLTM 4.0 일반형, 자기보고판을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위해 일부에게 척도를 반복 실시하였고(N=96), 타당도를 위하여 CDI(N=2410)와 RCMAS(N=2450)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5요인 구조가 한국어판 PedsQLTM 4.0 일반형에서도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정서, 사회, 학교 1, 학교 2. 도구의 신뢰도는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에 의해, 그리고 타당도는 CDI 및 RCMAS와 PedsQLTM 총점의 상관관계, 그리고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정상집단간의 PedsQLTM의 점수 차이를 통하여 검증되었으며, 그 결과 PedsQLTM가 아동 및 청소년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에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라 지각하는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드러남에 따라 이를 규준 작성에 반영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 따른 연구적,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PedsQLTM) 4.0 generic core scales. A total of 3353 school-bas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rades 3-12 and their 178 age-matched cancer survivors have completed the PedsQL.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eoretically-based 5-factor structure of the PedsQL fits the data well. The PedsQL scores were also associated with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estimates, supporting the reliability of this instrument’s score. The validity of the PedsQL scores is also supported. Specifically, the total score of PedsQL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Child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The PedsQL total score also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the school-based sample and the cancer survivor sample. One-way ANOVA examining the PedsQL score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as well as across grade level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PedsQL scale scores are provided for each gender and grade level. Clin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정경미(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양슬기(연세대학교 심리학과) pp.677-69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는 한국어판 소아용 삶의 질 검사(PedsQL<sup>TM</sup>) 4.0 일반형의 표준화를 실시하였다. 8-18세 정상발달 아동 및 청소년(N=3353) 및 소아암 치료 후 서울 소재대학병원에 방문한 아동 및 청소년(N=178)에게 PedsQL<sup>TM</sup> 4.0 일반형, 자기보고판을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위해 일부에게 척도를 반복 실시하였고(N=96), 타당도를 위하여 CDI(N=2410)와 RCMAS(N=2450)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5요인 구조가 한국어판 PedsQL<sup>TM</sup> 4.0 일반형에서도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 정서, 사회, 학교 1, 학교 2. 도구의 신뢰도는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에 의해, 그리고 타당도는 CDI 및 RCMAS와 PedsQL<sup>TM</sup> 총점의 상관관계, 그리고 소아암 생존자 집단과 정상집단간의 PedsQL<sup>TM</sup>의 점수 차이를 통하여 검증되었으며, 그 결과 PedsQL<sup>TM</sup>가 아동 및 청소년의 삶의 질을 측정하기에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임을 보여주었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성별과 학년에 따라 지각하는 삶의 질에 유의한 차이가 드러남에 따라 이를 규준 작성에 반영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 따른 연구적, 임상적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diatric Quality of Life Inventory (PedsQLTM) 4.0 generic core scales. A total of 3353 school-bas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grades 3-12 and their 178 age-matched cancer survivors have completed the PedsQL.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eoretically-based 5-factor structure of the PedsQL fits the data well. The PedsQL scores were also associated with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estimates, supporting the reliability of this instrument's score. The validity of the PedsQL scores is also supported. Specifically, the total score of PedsQL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the Child Depression Inventory and the 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 The PedsQL total score also significantly differed between the school-based sample and the cancer survivor sample. One-way ANOVA examining the PedsQL scores reveal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as well as across grade levels. The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of the PedsQL scale scores are provided for each gender and grade level. Clinical and research implications as well as limitations are also discussed.

이경순(삼육대학교) ; 연영란(가톨릭대학교) pp.697-709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련 선행연구들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예측변인을 파악하고, 중재효과를 분석하여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근거중심의 실무프로그램 개발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10개의 데이터베이스(PubMed, CINAHL,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국회 도서관, 네이버 전문정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 학술정보 학술 데이터베이스 검색사이트, 한국학술지 인용색인, DBpia, KoreaMed)에서 검색한 482편의 연구 중 38편의 연구를 최종 선택하였으며, 8편의 중재연구를 메타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62개 변인이 검색되었으며 1편 이상의 논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인은 54개였다. 이 중 월 가계소득, 한국어 능력, 한국 거주기간, 출신국, 사회적 지지, 자녀 수, 결혼기간, 부부의 연령차, 결혼만족도, 배우자 및 가족의 지지, 우울, 문화적응 유형이 주요 예측요인으로 제시되었다. 중재방법은 음악요법, 미술요법, 무용요법, 원예요법으로 분류되었으며, 임의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한 중재의 효과크기는 -0.83(95% CI: -1.34, -0.32)으로 중재프로그램의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당 연구 편수가 적고 무작위 순수 실험설계가 거의 없는 등 연구의 질이 높지 않아 일반화하기 어려운 제한점이 있다. 그러므로 주요 문화적응 스트레스 관련변인을 고려한 다양한 중재법의 개발과 함께 질 높은 연구설계를 바탕으로 한 반복적인 추후연구의 수행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evant predictors and to analyze the effect size of intervention studies in reference to acculturative stress. Electronic literature searches are conducted for PubMed, CINAH, RISS, Naver academic, KISS, NDSL, Nanet, Kci, DBpia and KoreaMed. Of 482 studies identified, 38 me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8 are used to estimate the effect size. A total of 62 factors have been considered as possible predictors for acculturative stress. Of these, 54 factors have been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The 12 factors that are identified most often as predictors are monthly household income, ability to speak Korean, duration of residence in Korea, nationality, social support, number of children, duration of marriage, marital satisfaction, couple’s age difference, spouse and family support, depression, and type of acculturation. Types of intervention include art therapy, dance therapy, horticultural therapy, and music therapy. The effect size using the random model effect is high (d=-.83, 95% CI:-1.34-0.32), even though the numbers of intervention studies a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e very rare. This study is an initial step in developing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The next steps will be to construct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relevant variables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and to develop an actual intervention program.

박군석(성균관대학교) ; 강연욱(한림대학교) ; 이주일(한림대학교) ; 유경(한림대학교) pp.711-730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09
초록보기
초록

한국 사회가 고령사회로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한국 노인들의 주관안녕과 신체건강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각각 영향을 미치는 11개 예측요인들을 종단적으로 추적하여 알아보았다. 총 11개 요인들에는 과거질병과 경제상태와 더불어 4개의 사회관계 요인 및 5개의 개인요인들이 포함되어 있다. 본 연구는 2003년부터 매 2년 간격으로 2009년까지 4차가 실시되었다. 분석대상은 4회기에 모두 참여한 836명 가운데 65세 이상 노인들의 자료이다. 그 결과 과거질병을 포함한 8개 요인이 1차 함수 형태로 연도가 지날 수록 상승 또는 하강하였고, 사회지원을 포함한 5개 요인이 2차 함수 형태로 상승 또는 하강곡선을 나타냈다. 한편, 주관안녕에 단기, 중기 및 장기적인 설명 효과를 지닌 요인들은 경제상태, 결혼만족, 부적정서 및 신체건강 요인이었다. 신체건강에 단기, 중기 및 장기적인 설명 효과를 지닌 요인은 과거질병, 경제상태 및 정적정서 요인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점은 시간의 변화속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회·환경적 특징의 변화가 한국 노인들의 평가에 반영되었음에도 여전히 주요 심리사회적 요인들이 의학이나 경제학 요인들과 함께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국 노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선 다각적인 접근의 필요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longitudinal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social relationship and personal) as well as the illness history and economic status on physical heal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the retired Korean elderly. Here, the social relationship factors include marital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offspring, expectation from offspring, and social-support, personal factors consist of satisfaction of self-respect need, positive affect, negative affect, religion, and health behaviors(drinking). Consistently integr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836 elderly men and women (mean age = 68.16yrs/base on 2003 year) residing in the Seoul and Chuncheon regional areas via interviews(Time 1). They were then re-interviewed two years later (Time 2, Time 3, Time 4). In the results of the general linear model analysis (repeated measure), the eight factors, including illness history, appeared to have an upward tendency or a downward tendency by linear type. The five factors, including social-support, appeared to have an upward tendency (U) or a downward tendency (reverse U) by quadratic type.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only the five predictable factors of economic status, marital satisfaction, negative affectivity and physical health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predicting the subjective well-being during the short term (2 yrs), middle term (4 yrs) and long term (6 yrs) periods. Also, in physical health, only the four predictable factors of illness history, economic status, and positive affectivity were significant during the short term, middle term and long term period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서경현(삼육대학교) ; 양승애(성신여자대학교) pp.731-746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위협에 대한 과대평가와 불확실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같은 강박신념과 경험회피, 에이즈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증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326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21세에서 54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중다성분 에이즈 공포증 척도, 강박신념 질문지, 수용-행위 질문지, 에이즈 지식 질문지, 에이즈 태도 질문지이다. 분석 결과, 에이즈에 대한 태도는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나 에이즈에 관한 지식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강박신념 중에 위협에 대한 과대평가와 불확실에 대한 인내력 부족 모두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경험회피의 요인인 정서 회피와 정서중심 반응도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나 에이즈 공포의 요인 중에 에이즈 감염에 대한 두려움과는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는 에이즈에 대한 태도가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에 대한 가장 강력한 변인이었으며, 변량을 약 20% 가량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협에 대한 과대평가도 그것에 더해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의 변량을 5%이상 설명하고 있었다. 불확실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정서 회피에도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를 독립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에이즈에 대한 태도는 위협에 대한 과대평가나 정서 회피와 간호사의 에이즈 공포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들과 합리적 행위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how obsessive beliefs, such as threat overestimation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experiential avoidance, and AIDS-related knowledge/attitude are related to AIDS phobia among nurses. Participants were 326 nurses at general hospitals, whose ages ranged from 21 to 54.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Multicomponent AIDS Phobia Scale, Obsessive Beliefs Questionnaire-87,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s-16, and Questionnaire for AIDS-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 The results indicated that attitude toward AIDS was closely correlated to the nurses’ AIDS phobia, whereas knowledge of AIDS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Both threat overestimation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among obsessive beliefs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nurses’ AIDS phobia. Emotional avoidance and emotion-focused inaction factors of experiential avoid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nurses’ AIDS phobia; yet, those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fear of AIDS infection among those with AIDS phobia.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attitude toward AIDS was a determinant variable of the nurses’ AIDS phobia, and accounted for around 20% of the variance. Additionally, threat overestimation accounted for more than 5% of the variance in the nurses’ AIDS phobia. Moreover,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avoidance had partial covariance with the nurses’ AIDS phobia independently. Moreover, attitude toward AIDS partly mediated the relation of the threat overestimation as well as emotional avoidance and the nurses’ AIDS phobia. These results was discussed with previous studies as well as with the theory of reasoned action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신지현(가톨릭대 부천성모병원) ; 김교헌(충남대학교) pp.747-765 https://doi.org/10.17315/kjhp.2012.17.3.01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외상의 처리수준이 암묵기억의 향상과 외현기억의 결핍이라는 기억의 해리 및 외상 후 스트레스 반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기억과제 실험 패러다임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에는 태안 기름유출 사고 지역의 중학생들 중 총 16명이 실험집단에 참여하였고, 대전시에 위치한 중학교 학생 중 총 20명이 통제집단에 참여하였다. 연구 결과, 외상을 경험한 집단은 외상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외상관련 자극을 자료주도적으로 처리할 때 개념주도적으로 처리할 때보다 높은 기억의 해리 현상을 보였으며, 외상을 경험한 집단이 외상관련 자극을 개념주도적으로 처리하면,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외상의 정교화 과정이 병리적인 기억패턴의 형성이나 외상후스트레스 증상의 발달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와 의의를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processing strategies on explicit/implicit memory dissociation and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for students in junior high school at Taean disaster site. This study involves sixteen subjects who experienced the oil-spill accident. The control group involves twenty subjects who live in Daejeon and hence did not experience the oil-spill accid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data-driven processing was related to the enhanced implicit memory and explicit memory deficit (memory dissociation) with trauma related cues in the trauma group compared to the non-trauma group. Moreover, data-driven processing increased PTSD severity in the trauma group compared to the non-trauma group, whereas conceptual processing reduced PTSD severity. The results support the viability of the distinction between data-driven/ conceptually-driven processing for the understanding of memory quality and the development of PTSD(Brewin et al., 1996; Conway, 1990; Ehlers & Clark, 2000; Foa et al., 1989).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relevance to the previous studies. And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suggested for further stud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