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김정호(덕성여자대학교) pp.369-387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독자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긍정심리학의 중재법과 마음챙김의 실천에 대해 각각의 특징과 가능한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긍정심리학의 중재법에서는 지나치게 긍정성에 치우칠수 있는 데서 올 수 있는 문제점이 다루어졌고, 마음챙김의 실천에서는 일상생활이 수동적으로치우칠 수 있는 문제점이 다루어졌다. 아울러 긍정심리학의 중재법과 마음챙김이 하나의 프로그램에 통합될 때 부정성과 긍정성의 양변에 빠지지 않으면서 긍정성을 추구할 수 있는 장점이논의되었다.

Abstract

The advent of positive psychology and acceptance of mindfulness into the main stream of psychology are outstanding changes in psychological society. The present paper suggests to build integrative program of mindfulness and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Positive psychology is a psychology of happiness and growth. It has many good intervention strategies to enhance happiness and facilitate growth. However, without the acceptance of human negativity or sufferings, positivity or happiness cannot be complete and can cause some side-effects. In this regard mindfulness can complement positive psychology. Mindfulness is a special kind of attention, i.e. bare attention, which is devoid of the activation of any motivation and cognition except keeping the object of attention in mind. Mindfulness improves the skill and power of acceptance, which can be an antidote to too much preoccupation with positivity. Practicing mindfulness will also benefit by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which will be helpful preventing mindfulness practice from vegetative mindfulness. They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for well-being enhancement.

김주희(연세대학교) ; 정경미(연세대학교) ; 전용관(연세대학교) pp.389-408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비만 아동의 신체 활동과 건강(KOCPA)’ 연구의 2차 캠프 프로그램에 참여한4-6학년의 과체중 이상 아동들을 대상으로 캠프 참여가 캠프 직후와 1개월의 사후 관리 후 실제적인 체중 감소 및 심리적 요인에 어떤 효과를 가지는지 살펴보고, 부모가 보고한 아동의 심리적 요인의 변화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식이 효능감 및 바람직한 식습관의 증가량이 실제 비만도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캠프 프로그램은 신체 활동, 식이 요법, 행동 수정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7박 8일간 진행되었으며, 캠프 참여 아동들은 행동 수정 프로그램에서 학습한 내용을 토대로 캠프 종료 후 1개월 간 자기 관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캠프프로그램을 통해 비만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식이 효능감과 식습관이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으며, 1개월간의 사후 관리 후 비만도와 식습관에 대한 효과가 유지되었다. 또한 캠프 이전에 비해 1개월간의 사후 관리 후 부모가 보고한 아동 식이 효능감, 식습관 점수는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식이 효능감과 바람직한 식습관의 변화량이 비만도 감소를 유의미하게 예측한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1) an effectiveness of a multidisciplinary camp program for overweight children, 2) maintenance of the effectiveness after the program, 3)changes in parent-reported child eating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 and 4) the association between changes in eating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 and changes in child BMI. Total of 32 children (BMI 26.09±3.33kg/m2), aged 9 to 12 participated in the camp program and follow-up meeting. The camp program consisted of physical activities, dietary restriction and behavior modification for a week. After the program, children were instructed to continue physical activities and diet using self-management skills learned from the behavior modification in the program. After the program, BMI of children significantly decreased, and child-reported eating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It was shown that although the improvement in eating self-efficacy was not maintained at the one-month follow-up period,the improvements in BMI and eating habit were maintained. Parent-reported child eating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follow-up. Finally, increase in child-reported eating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 scores significantly predicted the decrease in BMI.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also discussed.

이윤정(전북대학교) ; 손정락(전북대학교) pp.409-425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03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stress,coping style, emotional eating, and binge ea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with symptoms of bing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00 college students using Binge Eating Scale,Emotional Eating Scale, Stress Scale, and Stress Coping Style Checklist. Participants who scored 18 or more of Binge Eating Scale were interviewed and were 9 participants randomly assigned to Stress Management Program group and 9 participants to waiting list control group. After 8 Stress Management Program sessions, depressive eating, and bge eating of treatment group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ose of the waiting list control group. Emotion-alleviative coping style of treatment group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at of the waiting list control group and problem-focused coping style were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Stress level, emotion-alleviative coping style, depressive eating, anxiety eating, and binge eating of treatment group were more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those of the waiting list control group at 8 week later follow-up test. Finally, the meanings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suggestion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

원두리(충북대학교) pp.427-443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이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210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판 개정된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척도(K-CAMS-R)로 측정한 마음챙김이 개정된 다차원 대처척도로 측정한 적응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매개로 정적정서와 삶의 만족으로 이루어진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주는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이 적응적 대처로 알려진 정서적 진정, 긍정적 해석 및 적극적 대처를 통해 주관적 웰빙에 정적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이 수용되었다. 즉,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은적응적 대처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주관적 웰빙 수준도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이 주관적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적응적 대처방식들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적응적 대처방식들 간의 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와 관련된 시사점 및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on the stress coping and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The hypothetical model where adaptive stress coping(measured by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mindfulness(measured by K-CAMS-R) and subjective well-being(positive emo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tested for 210 adolescents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It was found that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affected th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adaptive coping which involves emotional pacification, positive interpretation, and active coping. The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was thereby accepted.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ping was confirmed in the process where mindfulness affects the subjective well-being. Additionally, the relations among the adaptive coping strategies were specifi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허창구(아주대학교) ; 신강현(아주대학교) ; 이철희(아주대학교) ; 이종현(아주대학교) pp.445-462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변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그리고 결과적으로 이들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기위해 실시되었다. 성격과 대처가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한 Bolger와 Zuckerman(1995)의 이론적 틀에 근거하여, 성격변인으로는 성격 5요인 중 정서적 소진과 관계가 입증된 외향성과 신경증을 투입하였고, 대처방식으로는 직무중심 대처와 정서중심 대처를 투입하여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외향성은 직무중심 대처를통해 정서적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간접매개), 신경증은 정서중심 대처를 통해정서적 소진에 정적인 영향(간접매개)을 미침과 동시에 직무중심 대처를 통해서도 정서적 소진에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간접매개). 성격변인 중 외향성에 비해 신경증이 정서적 소진에 큰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직무중심 대처에 비해 정서중심 대처가 정서적 소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안을 언급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coping strategies, and the influence of these personality and coping strategies on emotional exhaustion. Personality as antecedent was composed of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coping strategies as mediator were job-focused and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and emotional exhaustion as outcome was sub-factor of burnout.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job-focused coping strategy mediated between extraversion and emotional exhaustion and between neuroticism and emotional exhaustion. Second, emotion-focused coping strategy mediated between neuroticism and emotional exhaustion. We found the influence of neuroticism was stronger than extraversion on emotional exhaustion, and emotion-focused coping was stronger than job-focused coping on emotional exhaustion. This finding supported Bolger and Zuckerman's framework(1995) that personality and coping may influence on stres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최해연(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 민경환(서울대학교) ; 이동귀(연세대학교) pp.463-481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06
초록보기
초록

정서표현양가성에서의 개인차가 스트레스 조건에서 자율신경활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심박변이도분석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정서표현양가성 평균에서 상하 1표준편차 이상 떨어진 점수를 기준으로 정서표현양가성 고저집단을 각 15명씩(남16, 여 14; 평균 연령 22.9세, SD=2.8) 구성하여, 실험 과제를 수행하는 ‘약한 스트레스 조건’과 부정적인 수행결과 피드백을 받는 ‘강한 스트레스 조건’에서 각 집단의 자율신경 활동양상을 비교하였다.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은 사람들은 낮은 사람들에 비해 약한 스트레스 조건에서 교감신경활동이 유의하게 더 증가하였다. 강한 스트레스 조건에서는 두 집단 모두 교감신경활동이 우세하여 집단차는 유의하지 않았다. 피험자 내 효과 검증결과 정서표현양가성 수준과 교감신경활동 변화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이는 정서표현양가성이 낮은 사람들은 자기개념을 위협하는 분명한 스트레스 자극에만 탄력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정서표현양가성이 높은 사람들은 분명한 스트레스 자극뿐 아니라 정서표현양가성이 낮은 사람들은스트레스로 받아들이지 않는 약한 자극에도 스트레스 반응을 나타냄을 시사한다.

Abstract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s i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E) and autonomic responses in stressful conditions, we used heart rate variability analysis. The participants included 30 normal college students (16 male, 14 female;mean age of 22.9 years) divided into the high and low AE groups based on their AE scores 1standard deviation apart from the mean. The continuous interplay between sympathetic and parasympathetic influences on heart rate under the weak stressor condition (participating in an experiment test) and the strong stressor condition (getting negative performance feedback)was measured to test group differences. Only high AE group showed increased sympathetic activity (LF) under the weak stressor condition, while both groups showed dominant sympathetic influence under the strong stressor condition without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Within subject test result showed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group variable and LF changes.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low AE people showed flexible responses only to an clear stressor that may threat one's self-concept. On the other hand, the high AE people sensitively reacts with increased sympathetic activity not only to the strong stressors but also to the weak stressor, an evaluative situation where the others did not take it as a stressor.

장성리(중앙대학교) ; 이장한(중앙대학교) pp.483-498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혐오정서 유발자극에 대한 선행사건초점 조절전략과 반응초점 조절전략이 얼굴표정 및정서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여자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고,참여자들이 혐오정서 유발동영상을 시청할 때 서로 다른 정서조절전략(정서 표현, 표현 억제, 인지적 재평가, 표현 불일치)을 사용하도록 하여 얼굴표정과 정서경험을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정서표현집단에서 혐오표현단위의 빈도가 가장 높았고 표현 불일치, 인지적 재평가, 표현 억제집단의순으로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실제 경험한 정서를 반영하는 얼굴 윗부분에서 인지적 재평가집단의 혐오관련표현단위의 빈도가 정서 표현집단과 표현 불일치집단보다 낮게 나타났다. 자기보고식 정서 상태 측정결과, 표현 불일치집단에서 가장 많이 긍정정서가 감소한 반면, 인지적재평가집단에서는 긍정정서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정서조절전략이 얼굴표정 및정서경험에 미친 영향을 통해 인지적 재평가전략이 가장 기능적인 정서조절전략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facial expressions and emotional experiences, based on the facial expressions of groups, using antecedent- and response- focused regulation. 50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were instructed to use different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during the viewing of a disgust inducing film. While watching, their facial expressions and emotional experiences were measured. As a result,participant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action units related to disgust in the EG(expression group), and they reported in the following order of DG(expressive dissonance group), CG(cognitive reappraisal group), and SG(expressive suppression group). Also, the upper region of the face reflected real emotions. In this region, the frequency of action units related to disgust were lower in the CG than in the EG or DG. The results of the PANAS indicated the largest decrease of positive emotions reported in the DG, but an increase of positive emotions reported in the CG. This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reappraisal to an event is a more functional emotion regulation strategy compared to other strategies related to facial expression and emotional experience that affect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김홍순(경기대학교) ; 이연수(경기대학교) ; 김청송(경기대학교) pp.499-514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이효과에 낙관성과 강인성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실험집단 36명,통제-대기집단 45명이었으며, 실험 및 대기-통제집단은 일상생활 스트레스 점수의 평균을 근거로고/저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실험집단의 경우 프로그램 참여 전후에 강인성, 낙관성, 주관적 안녕감 척도를 반복측정하였다. 분석결과,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였다. 행복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대기자 대학생들에 비해 낙관성은 큰변화가 없었지만, 강인성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복측정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탄력성 요인으로 가정한 낙관성은 매개효과가 치료 전·후에 유지되지 않아 기질적 특성이라기보다는 인지양식으로서 기능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강인성은 치료 전·후에 매개효과가 유지되어 안정적인 탄력성 요인임이 증명되었다. 논의에는 프로그램 진행상의 회기의 단축이나 기간 내 스트레스원의 통제문제, 그리고 일상생활의 사소한 스트레스인 헤슬(hassle)이 탄력성을 작용하게 할 만큼 절실한위기상황이 아니었을 가능성을 설명하였다.

Abstract

The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was composed with self and other understanding,empathy, and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on subjective-well being and investigate the repeated measure mediated effects of hardiness and Optimism on subjective-well being of college Students. Results indicated that Happiness Enhancement Program directly increase subjective-well being on high/low stressful condition. It was found that hardiness maintain a role of mediating effect and Optimism are not mediated during therapeutic process. It was assumed that Optimism is not dispositional trait, but explanatory style as cognitive variable. And the limitations of session period, validation of hassle and control for stressors were discussed.

김용희(광주대학교) pp.515-528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분리개별화, 자율성, 친밀감이 행복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30-40대(평균 40.34세, 표준편차 3.55) 기혼 여성 122명을 대상으로하여 분리개별화 척도, 자율성 척도, 세대간친밀감 척도, 불안 척도, 행복감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리개별화는 자율성, 친밀감, 불안 및 행복감과 상관관계가유의하였다. 분리개별화를 부모로 각각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모분리개별화는 자율성, 친밀감, 불안에 영향을 주었으며, 부분리개별화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계적중다회귀분석 결과, 분리개별화, 자율성, 친밀감은 행복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분리개별화와 친밀감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한편 분리개별화와 자율성은 불안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분리개별화와 친밀감 또는 자율성 간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research have studied the effects of the married women's parental separationindividuation,autonomy and intimacy on happiness and anxiety. The subjects are a total of 122 female who have been married, living in Gwangju. The questionnaire, including separation-individuation, autonomy, parental intimacy, happiness, and anxiety scales, are distributed to collect the data.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paration-individuation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utonomy, intimacy, happiness and anxiety. Second, mother's separation-individuation had significant effect on autonomy, intimacy and anxiety, and father's separation-individuation had the largest effect on happiness. Especi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eparation-individuation, autonomy and intimacy predicted happiness,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separation-individuation and intimacy was significant. Furthermore, separation-individuation and autonomy predicted anxiet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variables were not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강연달(경남대학교 심리학과) ; 이은희(경남대학교) pp.529-548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1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열정이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및 게임중독과 대인관계,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적대감과 사회적 기술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경남 창원, 마산, 통영시에 소재하고 있는 9개 중학교의 1, 2, 3학년 남학생 9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공변량 구조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에 대한 열정 중 강박적 열정이 조화로운 열정보다 온라인 게임중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게임중독이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중독과 사회불안 및 대인관계와의 관계에 있어 적대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중독과 사회불안 및 대인관계와의 관계에있어 사회적 기술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청소년들이 게임에 대해 가지는 강박적인 열정이 게임중독의 핵심요인이며, 게임중독에 빠지게 되면 적대감 수준이 높아지거나 사회적 기술 수준이 낮아져서 사회불안을 심화시키고 대인관계의 질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결론지을수 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passion on game addi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hostility and social skills on the relationship among game addiction,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social anxiety. The data was drawn from 930 male adolescents in 9 middle schools located in Changwon, Masan and Tongyoung, Gyeongsangnamdo.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spec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s and the measures employ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assion of the adolescents toward online games, obsessive passion had a greater impact than harmonious passion on online game addiction. Second, the game addiction of the teens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ocial anxiety. Third, hostility had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online game addiction and the social anxiety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the teens. Fourth, social skills had played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online game addiction and the social anxiety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In sum, the obsessive passion of the teens for game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game addiction, and indirectly affected social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hostility and the social skills.

김완석(아주대학교) ; 권지현(아주대학교) ; 유연재(아주대학교) pp.549-568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11
초록보기
초록

자신의 신체에 대한 가치관의 일종으로서 “외모가 사회적 영역인 대인관계, 연인(배우자)관계, 사회적 성취 차원에서 가지는 유용성에 대한 개인의 신념 또는 믿음”이라 정의한 외모도구성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두 개의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1에서는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남녀 대학생(N=333)에게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개의 하위차원을 확인하였다. 연구2에서는 선정된 19개 문항을 새로운 대학생 표본(N=320)에 실시하여 요인구조를 교차타당화 하고, 성별 집단의 요인구조의 동질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경쟁모형을 구성하여 비교한 결과 3요인모형의 타당함을 확인하였고, 외모존중감(김완석, 2007)과 신체감시성(McKinley & Hyde, 1996),신체편향성(김완석, 유연재, 2007)과도 이론적으로 예상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외모도구성은 신체관리 행동에 대해서도 유의한 예언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외모도구성 척도(Body Value Inventory-Social Instrumentality-Appearance: BVI-SI-A)가 적절한 수준의 심리측정학적 특성을 가진 것으로 결론지었고, 향후 신체이미지와 신체관리 행동의연구에 유용한 척도임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o develop a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Scale(BVI-SI-A), two studies were performed. Social instrumentality of appearance, as a kind of body-related values, was defined as "personal beliefs of utility of body appearance in social settings such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sexual partnership, and social achievement". In study 1, 333 of college students were responded to 55 items which were developed as an item pool. 19 item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item and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of those 19items revealed a 3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In study 2, new college samples were collected(N=320, 120 male and 200 female)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cale further. Factor analysis revealed 3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which was same as study 1,and the homogeneity of factor structure across the sex was verified as well. The scal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ppearance Esteem(Gim, 2007), Body Surveillance(Mckinley, & Hyde, 1996), and Body Value-Inclination(Gim & Ryu, 2007) as predicted. BVI-SI-A had significant predictive power on body-related behaviors. Authors interpreted these results as the scale(BVI-SI-A) have acceptable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oncluded that it could be useful tool for body image and body related behavior studies.

강성군(강원랜드 중독관리센터) ; 김교헌(충남대학교) ; 이민규(경상대학교) ; 임지향(대구사이버대학교) pp.569-581 https://doi.org/10.17315/kjhp.2010.15.3.012
초록보기
초록

도박에 참여하는 사람이 늘어가고 있는 시점에서 도박중독 유병률을 조사는 일은 심리학적 개입서비스를 제공하는 건강심리학자와 정책입안자에게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도박중독의 정의와도박중독을 측정하는 방법에 대한 논란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도박문제 측정 척도인 KNODS, KCPGI, KSOGS를 비교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각 척도들은 측정하는내용, 신뢰도, 타당도, 세 척도들간의 상간 및 분류의 일치성의 측면에서 비교되었다. 본 연구에는카지노를 이용하는 1,375명이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세 가지 척도들이 제한점을 지니고 있었으나전반적으로 KCPGI가 가장 적절한 심리 측정적 특징을 보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앞으로 필요한 연구 내용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Measuring the prevalence of gambling addiction has become a major issue for health psychologists and policy-makers in Korea as gambler has expanded. However, there has been considerable debate about the definition of gambling addiction and the most appropriate ways of measuring it. This paper presents a comparative evaluation of three problem gambling screens: KNODS, KCPGI, KSOGS. Each screens were assessed in terms of content, reliability,validity and cutoff and classification agreement. Participants were 1,375, using casino. While finding limitations with all three screens, overall the study found that the KCPGI demonstrated the best measurement properties of the three gambling instruments. As well as limitations, the paper discusses issues for future consideration in prevalence studies and the measurement of gambling addic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