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김교헌(충남대학교) pp.251-266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1
초록보기
초록

심리학이, 최근 한국사회의 도전을 새로운 방식으로 해결하기 위한 핵심 열쇠로 부각되고 있는, 융합과 긍정 접근의 중심축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융합 접근의 인식틀로 유기적 세상가설과 통합 체계론을 제안하고, 심리학의 다양한 이론을 연결하고 종합하기 위해 마음 모형을 구성하였다. 중독 문제에 통합 체계론과 마음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어떤 시사점이 나타나는지를 논의 하였다.

Abstract

I assert that psychology is a hub of convergence and positive approach which can be a promising problem solver for new challenges in Korea. Organismic (or systemic) World Hypothesis and Integrative System Theory are proposed as a frame for the understanding of convergence approach. Maum model is constructed in order to integrate and connect various kinds of theories in psychology.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Integrative System Theory and Maum model when addictive problems are explained as a self-regulation failure syndrome.

김진미(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손정락(전북대학교) pp.267-283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발표불안을 가지고 있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용 전념 치료(ACT) 프로그램이 사회적 회피, 자기-초점적 주의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북 지역에 소재하고 대학교 400명 대학생들에게 사전 검사에서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자기-초점적 주의, 발표불안 척도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발표불안이 있는 대학생 22명을 참가자로 선정하여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 집단과 대기통제 집단에 11명으로 무선할당 하였다.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은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1개월 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수용 전념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들은 대기통제집단보다 사회적 회피, 자기-초점적 주의, 발표불안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 효과가 추적검사까지 계속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Social Avoidance and Self-Focused Attention of College Student with Speech Anxiety. Four hundred students of colleges located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Social Avoidance and Distress Scale, Self Focused Attention, Speech Anxiety Scale, 22 students who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11 in the ACT group and 11 in the control group. A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 Self-Focused Attention, and Social Avoidance, speech Anxiety were assessed at pre-test, post-test, and 1-month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Social Avoidance, Self-Focused Attention, and Speech Anxiety of therapy group was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연영란(삼육대학교) ; 이경순(삼육대학교) pp.285-299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국내 정신질환자에게 적용한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고,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향후 실무에서의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을 활용 및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이를 위하여 10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 586편의 연구 중 종속변수가 대인관계, 문제해결, 사회행동인 24편의 연구를 최종 선택하여 체계적인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중재방법은 통합재활프로그램, 사회기술훈련, 정서299관리훈련, 사회적응훈련, 자가간호프로그램, 직업재활프로그램 등으로 분류되었으며, 종속변수들의 효과크기는 대인관계 1.01(95% CI: 0.65, 1.38), 문제해결 0.91(95% CI: 0.35, 1.47), 사회행동 0.03(95% CI: -0.93, 1.00)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정신사회재활프로그램은 대인관계와 문제해결에는 보통 이상의 효과를, 사회행동에는 약간의 효과를 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studies o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or meta-analysis, electronic literature searches were being conducted for PubMed, CINAH, RISS, Naver academic, KISS, NDSL, Nanet, Kci, DBpia, KoreaMed. Out of the 586 studies identified, 24 were used to estimate effect size with the RevMan 5.0 program of Cochrane library. Various interventions were integrated with the rehabilitation programs,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s, emotion administration training programs, social adaptation training programs, daily living skill program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The effect size using random model effect was 1.01 (95% CI: 0.65, 1.38)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0.91 (95% CI: 0.35, 1.47) for problem solving, 0.03 (95% CI: -0.93, 1.00) for social behavior. This study suggest that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can increas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blem solving and social behaviors.

김미옥(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손정락(전북대학교) pp.301-321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대인불안, 스트레스 대처 방식 및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전북지역 소재 대학교의 300명 대학생들에게 대인불안 척도(IAS), 대처방식 척도, 사회적 자기효능감 척도(SSES) 및 수용 행동 질문지(AAQ-Ⅱ)를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대학생 18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여 치료 집단에 9명, 통제집단에 9명씩 무선 할당하였다.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은 주 2회씩 총 8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조사가 실시되었고 5주 후 추적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대인불안과 정서중심 대처 방식이 더 감소되었고, 문제중심 대처방식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은 더 향상되었으며, 추적 조사까지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ACT) on Interpersonal Anxiety, Stress Coping Style, and Social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with Interpersonal Anxiety. Three hundred students of university located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IAS),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Social Self-Efficacy Scale(SSES) and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Ⅱ(AAQ-Ⅱ). Eighteen patients who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9 in the ACT group and 9 in the control group. A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Interaction Anxiousness Scale(IAS), The Ways of Coping Checklist, Social Self-Efficacy Scale(SSES) and Acceptance & Action Questionnaire-Ⅱ(AAQ-Ⅱ) at pre-test, post-test, and at 5 weeks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terpersonal anxiety, emotion-alleviative coping style of therapy group were de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problem focused coping style, social self-efficacy of therapy group were increased in therapy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오영희(덕성여자대학교) pp.323-344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용서라는 도덕적 특성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참여자는 전국의 고등학교 1학년 남녀 1,533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본 연구자가 개발한 대인 특성용서 척도, Heartland 용서 척도, TRIM, Spielberger의 상태분노와 상태불안 척도, CES-D 우울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해 보니 먼저 대인 특성용서 척도(최종 11문항)의 문항내적 일치도(Cronbach α = .79)와 4주 간격의 검사-재검사 신뢰도(r = .75)는 수용할만한 수준이었다. 둘째,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해 본 결과, 용서특성 척도는 용서반응, 긍정적 용서신념, 부정적 용서신념이라는 3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 특성용서 척도는 외국의 용서 척도인 Heartland 용서 척도와 TRIM과도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서 수렴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용서 점수는 분노, 불안, 우울 점수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을 가지고 있어서 준거관련타당도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용서 점수는 성별, 지역, 종교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기 때문에 전국의 남녀 고등학생들에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규준은 백분위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Interpersonal Trait Forgiveness Scale (ITFS) for adolescents. The sample consisted of 1,533 students in the 10th grade. Participants have completed the ITFS, Heartland Forgiveness Scale (HFS), Transgression-Related Interpersonal Motivations Inventory (TRIM), Spielberger Anxiety and Anger Scale,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Results revealed that the ITFS scores were associated with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 α=.79) and test-retest reliability (r=.75).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upported a three-factor structure underlying the ITFS. The ITFS was also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ther forgiveness measures (HFS and TRIM) supporting its convergent validity. Finally,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ITFS was supported with being negatively correlated with measures of anger, anxiety, and depression. Overall, these results provide support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TFS scor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류애리(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송원영(건양대학교) pp.345-362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및 신체비교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신체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충남 지역의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80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평가도구로는 한국판 식사태도검사(KEAT-26),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척도(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cale; SATAS), 신체비교 척도(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Scale; PACS, Specific Attributes Comparison Scale; SACS), 신체 수치심 척도(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및 신체비교는 이상섭식행동 및 신체 수치심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신체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에서도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둘째, 마른 이상적 체형의 내면화 및 신체비교가 이상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신체 수치심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일상생활에서 발생되는 이상섭식요인들뿐 아니라 올바른 신체상과 자신에게 맞는 적절한 체중에 대한 기대가 섭식장애나 비만자들을 위한 프로그램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관련 논의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안점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body shame when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physical comparison affect disordered eating behavior. For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female undergraduates of K-university in Chung-Nam and Dae-Jeon, South Korea. Data of 280 undergraduates were analyzed. In order to sort out female undergraduates who have a possibility of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 Korean Eating Attitude Test-26 (KEAT-26) was used which have been standardized what Garner and Garfinkel developed and amended. To measure the internalization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Scale (SATAS) was used, which was a test that Jung-Shin Moon has adapted from what Cusumano and Thompson developed. To measure the physical comparison, 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Scale(PACS), which was a test that Eun-Jung Son has adapted what Tantleff developed, and Specific Attributes Comparison Scale(SACS), which was a test that Eun-Jung Son adapted what Tiggermann and Mcgill developed, were used. To measure body shame, eight questions regarding body shame from the 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Scale, developed by Mickinley and Hyde, were used, which were a test that Eun-Jung Son has adapted.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the PASW 18.0 program using collected data. The consequences of this research are follows: First,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physical comparis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 as well as with body shame. Body shame, also,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disordered eating behavior. These consequences show that disordered eating behaviors of female undergraduates could increase due to body shame particularly when they have a high level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physical comparison. Second, the body shame was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physical comparison and the disordered eating behavior. Consequently, it is crucial to decrease the level of thin-ideal internalization and physical comparison, however first step is to educate females about their physical appearance so that they can decrease the level of body shame, which implies that eating disorder caused by disordered eating behavior can finally decrease. Likewise, further discussion and proposals for following researches are proposed.

임세아(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일옥(삼육대학교) pp.363-378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7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HIV 감염인의 일반적 특성과 우울,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 수집은 2012년 7월 1일부터 2012년 8월 31일까지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의료기관 감염인 상담 사업에 참여하는 14개 기관 중 사업 책임자의 연구 승낙이 이루어진 11개 의료기관에서 시행되었다. 상담을 받고 있는 HIV 감염인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경우에 서면 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5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수준이 낮고 기혼일 때 우울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낮고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동거인이 있는 경우에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았으며, 경제수준이 높고 직업이 있는 경우, 여자보다는 남자가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HIV 감염인은 우울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았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HIV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통제변수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경제수준, 직업유무, 감염기간은 삶의 질을 14.8% 설명하였고(F=3.65, p<.01), 우울을 추가시켰을 때는 38.9%를 설명(F=11.64, p<.001)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를 추가시켰을 때는 47.8%의 설명력(F=14.73, p<.001)을 보였다. HIV 감염자라는 낙인과 차별로 자존감이 저하되어 사회적 지지가 매우 중요하였고, 우울이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지지체계의 질적·양적 향상을 위한 국가와 사회의 지원과 중재가 요구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effe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f HIV- infected people to their quality of life. To achieve the purpose, 11 medical institutions were selected out of 14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a consultation project for HIV-infected people, which is part of a program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rom July 1, 2012 to August 31, 2012. Under the approval of the people in charge of the institutions, a total of 155 HIV-infected people receiving medical consultations in said institutions responded to the survey after listening to the explanation of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s well as providing written consent for the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correlation withi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HIV-infected people, the quality of life was lower when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higher, and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when social support was higher. Looking into the influenc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HIV-infected people, sex, age, educational level, economic level and infectious period explain 14.8% of the quality of life(F=3.65, p<.01), 38.9%(F=11.64, p<.001) when the factor of depression was added and 47.8%(F=14.73, p<.001) when the factor of social support was included. Social support was very important for HIV-infected people, who usually have lower self-esteem due to negative social marking, in addition depression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in their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prepare various social support system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HIV-infected people.

서경현(삼육대학교) ; 김태민(삼육대학교) ; 손솔(삼육대학교 상담심리학과) ; 김혜경(삼육대학교) pp.379-399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요인이나 자살 생각 간의 관계에서 자기노출과 사회비교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 399명이며, 평균 연령은 73.37(SD=5.78)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스트레스와 노인의 자기노출과 하향 사회비교, 절망감, 우울, 및 자살생각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노년기 스트레스는 자기노출이나 하향 사회비교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절망감 및 우울 그리고 자살생각과도 정적 상관을 보였다. 노인의 자기노출과 하향 사회비교 모두 절망감 및 우울 그리고 자살생각과 정적으로 관계하고 있었다. 그런데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자기노출과 하향 사회비교는 노년기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요인인 절망감이나 우울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자기노출과 하향 사회비교는 노년기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모형에서는 하향 사회비교가 노년기 스트레스는 물론 자기노출까지도 매개하여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한편, 자살생각에 대한 절망감이나 우울과 같은 정신건강 요인의 직접 효과보다 노년기 스트레스의 직접 효과가 더 컸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향 사회비교가 한국 노인의 자살생각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끝으로 노인의 사회비교를 선행연구와 한국인의 집단주의 성향을 기초로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les of self-disclosure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 in stresses and mental health factors or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Participants were 399 elderly men and women who were at least 65 years of age whose average age was 73.37 (SD=5.78). For this study, stresses in senescence, self-disclosure, downward social comparison,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were measur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ress in senesce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disclosure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 as well as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However, self-disclosure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 was also positively related to hopelessn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self-disclosure and downward social comparison were not mediating between the stress in senescence and mental health factors, such a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However, they were mediating between the stress in senescence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downward social comparison was mediating not only the stress in senescence but also self-disclosure to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Meanwhile, direct effect of the stress in senescence on suicidal ideation was stronger than the direct effect of mental health factors, such as hopelessness and depres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downward social comparison is a determinant variable which has negative roles in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Finally, the roles of downward social comparison was discussed with previous studies and Korean collectivism.

김솔지(성신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김명선(성신여자대학교) pp.401-420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분열형 인격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이 지적 기능의 저하를 가지고 있는지와 이들의 지능검사 수행과 분열 증상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분열형 인격장애 질문지(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SPQ)의 점수에 근거하여 분열형 인격성향군(n=20)과 정상통제군(n=20)을 선택하였다. 지적 기능은 한국판 웩슬러 성인 지능검사(Korean-Wechsler Adult Intelligende Scale: K-WAIS)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그 결과 분열형 인격성향군이 정상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동작성 IQ와 전체 IQ를 보였다. K-WAIS의 소검사들 중 산수문제, 이해문제, 빠진곳찾기와 차례맞추기에서 분열형 성향군이 정상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분열형 인격성향군의 지능검사 수행과 분열 증상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산수문제와 인지-지각 요인, 차례맞추기/모양맞추기와 대인관계 요인, 산수문제와 SPQ 총점 사이에 부적 상관이 관찰되었다. 이에 덧붙여서 SPQ 총점을 예측하는 소검사를 확인하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차례맞추기와 산수문제가 SPQ 총점의 약 41%를 예측하였다. 이 결과는 정신분열병 고위험군인 분열형 인격성향군이 지적 기능의 저하를 경험하고, 사회적 상황에서 당면하는 문제에 즉각적으로 대처하는 능력의 저하를 가지고 있고, 분열형 성향군에서 관찰되는 지적 기능의 저하가 주의 및 집중력, 사회적 민감성, 대인관계 및 사회적 상황에서의 대처 능력의 어려움과 관련되어 있으며 차례맞추기와 산수문제의 수행이 정신분열 스펙트럼 장애의 위험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사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its relationship to schizotypal symptoms in nonclinical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schizotypal personality traits. Based on the scores of the Schizotypal Personality Questionnaire, the schizotypal trait (n=20) and normal control (n=20) groups were being selected. The Korean-Wechsler Adults Intelligence Scale(K-WAIS) was administered for the measurement of intelligence functioning.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schizotypal trait group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Total IQ and Performance IQ. In addition, schizotypal trait group showed lower scores on the Arithmetic, Comprehension, Picture Completion and Picture Arrangement than normal controls. In terms of relationships between intellectual functioning and schizotypic symptoms in schizotypal trait group, negative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Arithmetic and Cognitive-Perceptual factor, between Picture Arrangement and Interpersonal factor, and between Object Assembly and Interpersonal factor. Scores on the Arithmetic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PQ total scores. In addition, the scores of Arithmetic and Picture arrangement significantly predict the total score of SPQ.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tellectual functioning is impaired for nonclinical individuals with schizotypal trait, and, particularly, these individuals seem to have difficulties in attention/concentration, social sensi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r ability to cope with problems in social situations. In addition, the performances on Arithmetic and Picture arrangement could serve as predictors for high-risks of schizospectrum disorder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