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홍기원(호서대학교) ; 이종택(동양공업전문대학) pp.1-25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1
초록보기
초록

진보와 보수를 가르는 이념적 지형에 대한 연구는 정치적 상황의 변화와 함께 많이 연구 되어 왔으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에 대한 심리학적 분석과 그러한 이념적 지형의 뒤에 있는 심리적 요인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서울과 천안에 거주하는 500명을 대상으로 Duckitt, Birum, Wanger, 및 Plessic(2002)이 제안한 이념적 태도와 성격변인들을 재는 질문지에 응답하게 한 결과, 교육수준이 낮고,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더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기혼보다는 미혼자가 더 진보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진보와 보수에 대한 지지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분야별로 다르게 나왔다. 서구인들은 연령과 무관하게 진보-보수의 이념적 분리가 강하여 연령에 따른 보수화가 낮은데 비하여 한국의 성인 집단에서는 연령에 따른 이념적 분리가 강하게 나타났다. 이념적 지형에 깔려있는 심리적 요인을 탐색하기 위하여 우익 권위주의, 사회적 지배성이라는 두 가지 성격들(RWA, SDO), 두 가지 세계관(위험한 세계관, 경쟁적 세계관), 세 가지 외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북한, 부자, 기업인)들 간의 경로계수들의 결과, 한국 성인들의 이념적 지형은 이들 성격들, 세계관들로 잘 예언할 수 있는 것으로 나왔다. 한국 성인들의 보수성은 사회적 지배성보다는 우익 권위주의로 더 잘 예언할 수 있으며, 서구 사회에서처럼 강한 이념적 지향을 경험한 결과로 우익 권위주의로부터 사회적 지배성으로의 경로도 확인되어, 우익권위주의와 사회지배성을 중심으로 한 이중과정 모형을 지지하는 결과를 얻었다.

Abstract

Two studies were conducted to fill the lack of psychological exploration on the study of ideological topology in Korean adults and the possible psychological bases of such topology. Differential demographic effects like economic status, educational levels, gender, and age would related to liberal-conservative ideology in Korean setting compared to Western culture were examined in analysis 1. Psychological bases related on the ideological topology were probed in the analysis 2. To test the generality of the theoretical model relating personality and world views to ideological trends (conservative-liberal), prejudice (attitudes towards North Korea, rich people, and enterprisers), and life styl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ith latent variables in a sample of Korean students and adults living in Cheonan and Seoul. 500 persons, 238 (47.6%) males and 262 (52.4%)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35 years old completed a survey questionnaire based on authoritarianism, social dominance, social conformity, life style, social attitudes and social world views. Different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nalyzed, and the goodness of fit statistics and path coefficients for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interpreted. More conservatives evidenced in lower education, higher economics, and more liberal attitudes in females than males and married than not-married. But differential ideological configurations effects were revealed according to political, economical, and social domains. However, there was age effect, which is not for granted in Western society, which suggest there might be a cultural difference between Western countries and Korea. Generally, SEM model proposed by Duckitt, Birum, Wanger, and Plessic(2002) was supported, which means ideological trends and related social beliefs can be explained by the right wing authoritarianism (RWA) and social dominance (SDO), which in turn connected with social conformity, dangerous world view, tough mindedness, competitive jungle world. Especially, RWA and SDO had positive, reciprocal, and causal impacts each other, path prediction from RWA to SDO than vice verse though, which suggest strong ideological orientations were established in Korea like Europe and America. More closer link political and social domains to RWA while economic domains to SDO and more strong relation between social confirmity and RWA, competitive world view and SDO. RWA than SDO can predict more conservatism but lesser RWA and SDO in females than males since more competitive world view and dangerous world view are prevalent in males than female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presents study were discussed.

박희찬(동국대학교) ; 김혜숙(아주대학교) pp.27-49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지는 각 범죄(자)의 특성에 대한 고정관념과 그 영향을 검토하였다. 연구 1에서는 519명의 사람들에게 여러 유형의 주요 범죄에 대해 그 인구학적 특성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은 범죄의 유형(즉 살인, 폭력, 성범죄, 강도, 절도, 사기, 횡령, 조직폭력범죄)에 따라 범죄자의 특성(즉 성별, 교육, 지위, 도농, 인종, 사회경제적 계층, 지역)을 다르게 지각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연구1에서는 특히 사람들이 인종고정 관념적 특성에 대해 절도범죄는 동남아노동자가 한국인보다 더 많이 저지른다고 평가하였고 사기범죄는 한국인이 동남아노동자보다 더 저지른다고 평가하였음을 밝혔다. 연구 1의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2에서는 참여자들에게 범죄 유형(사기 대 절도)과 인종특성(동남아노동자 대 한국인 대 통제)을 스크립트를 통해 제시하고 가해자에 대한 귀인과 처벌관련 판단이 달라지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람들은 한국인의 고정관념적 범죄인 사기범죄에 대해서 동남아노동자의 사기범죄에 대해서보다 더욱 내부적·지속적·안정적 요인에 의한 행동이라고 귀인하였다. 또한 남자응답자는 예상대로 동남아노동자의 절도범죄에 대해 한국인의 동일 범죄에 대해서보다 재범가능성을 더 높게 지각하였고, 반면 한국인의 사기범죄를 동남아노동자의 동일한 사기범죄에 대해서보다 재범가능성이 더 높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예상대로 고정관념 일치범죄에 대해 재범가능성이 더 높다고 지각한 것은 내부귀인에 의해 매개되었다. 이러한 결과의 이론적·실제적 의미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stereotypes of criminals of Koreans(Study 1) and their effect on judgement regarding the crime(Study 2). Undergraduate students(N=271) and adults(N=248) participated in Study 1 which was design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riminals (homicide, violence, sexual offense, robbery, larceny, fraud, embezzlement and gang) in terms of the category of sex, education, social standing, urban or suburban, race, bracket and region. The result demonstrated that people perceived each crime was related to specific pattern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Study 2,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tereotypes of criminals on the judgement of the criminal acts. In half of the cases, the target's criminal act(theft or fraud) was stereotypic of the target's ethnic group(conveyed through his name), Koreans or Southeast Asians immigrants,and in the other half cases it was not. After reading the script describing either fraud or theft, subjects judged the causes of the crime, the likelihood that the crime would recur and recommended punishment for the offens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Korean fraud (i.e., Korean stereotypic crime) in comparison with the fraud committed by Southeast Asians was attributed more to stable and persistent factors. Furthermore, male participants perceived the Southeast Asian theft as being more likely to repeat the crime than Korean theft while they perceived Korean swindler more likely to repeat the crime than the Southeast Asian swindler, as expected. Finally, the effect of the stereotype-consistency of the crime on the judgment of recidivism was mediated by the degree of internal attribution. We discussed about the theoretical as well a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차운아(중앙대학교) pp.51-72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3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회귀분석과 가상 정서 상황에서의 정서 표현 대상에 대한 인상 평가의 비교를 통해 한국의 대표적 선망 관련 정서인 "부러움"과 "시샘"이 가지는 사회적 기능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부러움이 시샘에 비해 상향 사회비교 대상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좁히고 다가가고자 하는 동기와 관련을 가지는지, 특히 정서 표현을 통해 이러한 사회적 동기를 신호하는 것이 가능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비교 지향 성향이 높을수록 부러움을 많이 경험하였으며 부러움을 표현한 대상에 대해서는 시샘을 표현한 대상에 비해 우월함을 인정하면서도 심리적 거리를 가깝게 느끼고 호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샘이 상향 사회 비교 상황 중에서도 심리적 거리가 멀거나 가깝게 지낼 필요가 없는 사람에 대해 느끼는 ‘분리’ 혹은 ‘회피’의 정서인 데 비해, 부러움은 가까운 혹은 가깝게 지낼 필요가 있는 대상에 대해 갖게 되는 ‘연합’ 혹은 ‘접근’의 정서임을 보여준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social functions of two envy-related emotions in Korea: Buroum (benign envy) and sisem (malicious envy). Although these two emotions might share some common features as members of envy family,it was hypothesized that they are associated with solving different social problems and thus serve different social functions. The results showed that buroum was uniquely predicted by high level of social comparison orientation and low level of prevention motives. In addition, experience of being envied in terms of buroum, compared to that in terms of sisem, evoked greater eciprocal sense of closeness and desire to be close with the person who envi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xperience of sisem is associated with and is based on ‘separation' or ‘avoidance’ motives and serves a social function of balancing unjustified unfairness whereas the experience of buroum is associated with and is based on ‘association' or ‘approach' motives and serves a social function of managing interpersonal harmony and strengthening social ties in collectivist and interdependent cultures.

박근영(법무부) ; 이민규(경상대학교) pp.73-88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정신질환의 유-무와 정신건강(주관적, 심리적, 사회적 안녕감)의 수준으로 정신건강을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Keyes(2005)의 정신건강모형이 수형자 집단에 적합한지 확인하고, 모형에 따른 분류의 정확성을 규명하고, 집단 간 심리사회적 기능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 교도소 수형자 630명을 대상으로 주관적 안녕감 척도, 긍정적 정서목록, 심리적 안녕감 척도, 사회적 안녕감 척도,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 심리사회적 기능척도, 공격성척도를 사용 하여 자료 수집 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판별분석, 분산분석 등을 통해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정신건강과 정신질환은 상관을 가정한 2요인 모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별분석을 통해 Keyes(2005)가 제안한 정신건강모형에서 제시한 5개 집단 분류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신건강, 정신질환과 심리사회적 기능의 각 하위요인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집단 간 심리사회적 기능에 차이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신건강모형을 통한 정신건강 진단의 시사점과 각 집단에 적합한 개입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연구의 한계점과 미래연구의 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at the mental health model divided into five types by Keyes(2002)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mental illness and the level of mental health (subjective, psychological and social well-being) is suitable for groups of prison inmates, investigate the accuracy of classification according to models and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psychosocial functioning among those groups. To do thi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30 inmates of J prison using the measurements of the subjective well-being scale, list of positive emotions,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social well-being scale, SCL-90-R, psychosocial functioning scale and aggression scale, and analyz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hypotheses that 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constituted separate latent factors, and the two latent factors were correlated. The accuracy of the 5-group classification suggested in mental health models by Keyes (2002) was confirmed through discriminant analysi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and each subfactor of psychosocial functioning and discover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psychosocial functioning among groups. Lastly, implications on mental health examination through mental health models and necessity of intervention suitable for each group were referred to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tasks of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유경(충북대학교) ; 이주일(한림대학교) pp.89-104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연령 집단에 따른 여성의 행복 수준의 차이와 여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대부터 60대까지의 여성 65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세대에 따라 청년기, 성인 초기, 성인 중기, 성인 후기로 구분하고 연령 집단에 따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16가지 요인들의 영향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행복 수준은 성인 후기 집단이 가장 높고, 성인 초기, 성인 중기, 청년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 집단에 따라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상이하게 나타났는데, 성인 후기 집단은 성취수용, 성인 중기 집단은 성취 수용, 배우자, 성인 초기 집단은 종교, 자녀성장, 배우자, 대인관계, 긍정적 인생관, 건강, 그리고 청년기는 성취 수용, 여가, 긍정적인 인생관이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세대별로 갖는 의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firm the age differences of Korean women's Happiness and examine the effects of 16 happy-related factors on happiness. From twenties to sixties 656 Korean women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results, there were age differences among four age groups(late adulthood > pre-adulthood > middle adulthood > early adulthood). In regard of 16 happy-related factors, they had differential effects on the happiness among four groups.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achievement acceptance, leisure, positive one's view of life had effects on the happiness of pre-adulthood. In early adulthood, religion, raising of children, spouse/partner, relationship, positive one's view of life, health factors and in middle adulthood, achievement acceptance and spouse/partner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appiness. In late adulthood, achievement acceptance factor was effective. The important meanings of 16 happy-related factors and differential effects on the women's happiness were discussed.

이수정(경기대학교) pp.105-116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6
초록보기
초록

This study validated statement validity test tools such as CBCA, RM, and a contextual validity test of sexual molestation, used at ONE-STOP centers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for the cutoff scores of these instruments for judicial decision making. This study applied a simulation study with two criterion groups(Smith, 1997), a real sexually victimized group and feigned group. These 재 criterion groups were compared based on the scores of three dependent measures. Total scores of items were analysed, which were proven to have good item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tudy of Choi and Lee(2009). Total scores of three scales differentiated real sexual victims from feigned subjects. The most effective cutoff scores were found to be 13 of CBCA consisted of 11 items , 9 of RM consisted of 8 items, and 9 or 10 of a contextual validity test consisted of 14 items.

Abstract

이수정(경기대학교) pp.105-11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원스탑센터에서 경찰조사를 보조하는 진술분석요원들이 사용하고 있는 아동성폭력 피해자 중에서 가장 주요한 도구인, 준거기반내용분석(CBCA), 사실성 평가(RM), 성폭력발생맥락평가 도구들의 검증하였다. 연구의 또다른 목적은 이들 도구들에 대한 현장 활용력을 높이기 위하여 통계분석을 통해 판단의 기준점(cutoff score)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기도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모사실험설계(Smith, 1997)를 활용하였는데, 예컨대 진짜 피해를 당하지 않은 성폭력 피해를 가장한 집단과 진짜 피해자 집단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때 집단 간 차이분석은 주로 최혜림과 이수정(2009)의 연구에서 문항 변별도가 적절하다고 판명된 문항을 중심으로 하여 실시되었다. 대부분의 문항은 허위로 피해를 가장한 진술과 진짜 피해 진술을 변별해내 데에 유용하였으며 총점 상에 있어서도 충분한 변별력을 갖추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판단의 기준점은 3점 척도를 적용하였을 때, 11개 문항으로 구성된 준거기반내용분석(CBCA)은 13점(AUG .87) 이상, 8개 문항으로 구성된 사실성평가(RM)는 9점(SUC .89) 이상, 2점 척도를 적용하였던 성폭력발생맥락평가의 14개 문항 총점은 9점(AUC .85) 혹은 10점(AUC .85) 이상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이들 기준점을 의사결정 시 어떻게 반영하는 것이 적절한지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validated statement validity test tools such as CBCA, RM, and a contextual validity test of sexual molestation, used at ONE-STOP centers in South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attempted to search for the cutoff scores of these instruments for judicial decision making. This study applied a simulation study with two criterion groups(Smith, 1997), a real sexually victimized group and feigned group. These 재 criterion groups were compared based on the scores of three dependent measures. Total scores of items were analysed, which were proven to have good item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study of Choi and Lee(2009). Total scores of three scales differentiated real sexual victims from feigned subjects. The most effective cutoff scores were found to be 13 of CBCA consisted of 11 items , 9 of RM consisted of 8 items, and 9 or 10 of a contextual validity test consisted of 14 items.

이용실(고려대학교) ; 김학진(고려대학교) pp.117-131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7
초록보기
초록

얼굴을 통해 형성된 인상정보가 사회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은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구체적으로 얼굴의 어떤 특정한 요소가 이러한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이러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투자자가 피투자자 얼굴의 특정 요소만을 볼 수 있도록 하여 투자상대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도록 한 신뢰게임(trust game)에서의 위험감수행동을 측정 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얻은 얼굴 신뢰성 평균치들을 토대로 가장 신뢰로운 얼굴 10장(신뢰성 고)과 가장 신뢰롭지 못한 얼굴 10장(신뢰성 저)을 포함하는 총 20장의 남성 얼굴 사진들을 눈, 코, 입으로 나눈 60장의 얼굴영역 부분 사진들을 실험참가자들에게 보여주고 각 얼굴영역의 대상에게 투자할 금액을 결정하도록 요구하였다. 실험 결과 얼굴 신뢰성(고, 저)과 얼굴 영역(눈, 코, 입)간의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세부 분석 결과 눈 부위 사진이 제시될 경우에 실험 참가자들은 고 신뢰성 파트너에게 저 신뢰성 파트너보다 많은 금액을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상황 하에서 타인에 대한 신뢰성 판단은 눈, 코, 그리고 입의 세 얼굴영역 중에서 주로 눈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Despite the well-known effects of facial impression on social interaction, little is known about which specific facial components contribute to this process. To address this issue, we designed the present study using a trust game where trustors invest upon a presentation of only a single facial component of the trustees’ faces. 10 high and 10 low trustworthy male faces were chosen from a set of 355 faces based on their normative facial trustworthiness ratings obtained from a pilot study. For the actual experimental stimuli, we isolated three separate facial components (i.e., eyes, nose, and mouth) from each face, obtaining the final 60 images to invest on. Using a 2 × 3 repeated-measures ANOVA, we found the interaction effect of facial trustworthiness (high and low) and facial component (eyes, nose, and mouth) on the amount of investment. Post-hoc tests revealed significantly larger amount of investment for "high” vs. "low” trustworthy faces in the eye trials, but not in the other trials. The present results further confirmed that faces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initial trustworthiness, and also suggest that critical signals of trustworthiness can be effectively communicated via the eyes of the trustee and these signals can also guide decisions in situations of financial investment.

전우영(충남대학교) ; 김병준(동서리서치) pp.133-150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실험을 통해서 인터넷 댓글이 정치인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이 정정 메시지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정정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 정치인에 대한 판단은 댓글의 내용에 의해 결정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 댓글 조건의 실험참여자가 부정적 댓글 조건의 실험 참여자보다 정치인을 더 좋게 평가했으며, 정치인에 대한 투표의향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댓글이 전혀 근거가 없고 타당하지 않은 경우에도 정치인에 대한 판단은 댓글에 의해 크게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정 메시지가 주어진 경우에는 댓글이 정치인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은 제거되었다. 논의에서는 정치인에 대한 판단에서 인터넷 댓글과 정정 메시지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Abstract

Two experiments examine how online comments and correction messages affect individuals' judgments of a politician. The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judgments of a politician are dependent on the valence of online comments when the correction message is absent. That is, in the absence of a correction message, individuals made more positive judgments of the target politician when the online comments described him in a positive (vs. negative) way. Even when the online comments were invalid, individuals' judgments of the politician were heavily influenced by the online comments. However, when the correction message was present, the influences of online comments on judgments of the politician disappeared. The role of online comments and correction messages in the formation of individuals' judgments of politicians is discussed.

이재웅(한림대학교) ; 조은경(한림대학교) pp.151-167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9
초록보기
초록

SCAN(Scientific Content Analysis; 과학적 내용분석)은 미국 등 여러 나라의 형사사법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려진 진술 분석 기법 중의 하나로서 자발적인 진술의 내용과 구조를 분석하여 진술의 신빙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CAN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목격자 진술의 신빙성 평가에 적용 가능한지를 탐색하고자 하는 실험연구로서 SCAN을 통해 진실한 목격 진술과 거짓 목격 진술을 구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90명(남녀 각각 45명)을 대상으로 ‘목격한 것을 사실 그대로 진술하기'(진실집단), ‘목격한 것을 허위로 진술하기'(거짓집단1), ‘목격하지 않은 것을 목격한 것처럼 진술하기'(거짓집단2)의 조건으로 나누어 Smith(2001)가 사용한 13개의 SCAN 준거를 사용하여 각각의 진술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거짓집단1과 거짓집단2의 SCAN 준거의 총점이 진실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3개의 준거 중 4개의 준거가 집단을 신뢰롭게 구별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술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험조건에 따라 개별 준거에 해당하는 내용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영어권 나라에서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 SCAN을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수사실무에서 SCAN을 활용하는 문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SCAN(Scientific Content Analysis) is one of the most popular statement analysis techniques being used by investigators in many countries. SCAN analyzes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statements of suspects, victims, or witnesses and evaluates their credibility. The principles of SCAN are incorporated into several criteria. The presence of each criterion is assumed to be an indication of deception and is more likely to be observed in deceptive statements rather than truthful ones. This study attempts to test the validity of SCAN in analyzing witness statements written in Korean language.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manipulated. Truthful group saw a real car theft video clip and truthfully wrote about what they actually saw. False group 1 saw the same car theft video clip but intentionally described the theft scene incorrectly. False group 2, saw a non-criminal neutral video clip and wrote as if they saw a car theft crime. Two raters scored SCAN total for each subject's statement applying Smith's(2001) 13 SCAN criteria.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AN total scores between the truthful group and false groups, in which two false groups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AN scores than the truthful group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alse groups. Four of 13 criteria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etween the truthful and fals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CAN could be applied to witness statements written in Korean language although the statements were experimentally derived. But som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이재웅(한림대학교) ; 조은경(한림대학교) pp.151-167
초록보기
초록

SCAN(Scientific Content Analysis; 과학적 내용분석)은 미국 등 여러 나라의 형사사법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알려진 진술 분석 기법 중의 하나로서 자발적인 진술의 내용과 구조를 분석하여 진술의 신빙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SCAN을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소개하고 목격자 진술의 신빙성 평가에 적용 가능한지를 탐색하고자 하는 실험연구로서 SCAN을 통해 진실한 목격 진술과 거짓 목격 진술을 구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90명(남녀 각각 45명)을 대상으로 '목격한 것을 사실 그대로 진술하기'(진실집단), '목격한 것을 허위로 진술하기'(거짓집단1), '목격하지 않은 것을 목격한 것처럼 진술하기'(거짓집단2)의 조건으로 나누어 Smith(2001)가 사용한 13개의 SCAN 준거를 사용하여 각각의 진술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거짓집단1과 거짓집단2의 SCAN 준거의 총점이 진실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3개의 준거 중 4개의 준거가 집단을 신뢰롭게 구별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술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실험조건에 따라 개별 준거에 해당하는 내용의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영어권 나라에서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 SCAN을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과 수사실무에서 SCAN을 활용하는 문제를 논의하였다.

Abstract

SCAN(Scientific Content Analysis) is one of the most popular statement analysis techniques being used by investigators in many countries. SCAN analyzes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statements of suspects, victims, or witnesses and evaluates their credibility. The principles of SCAN are incorporated into several criteria The presence of each criterion is assumed to be an indication of deception and is more likely to be observed in deceptive statements rather than truthful ones. This study attempts to test the validity of SCAN in analyzing witness statements written in Korean language. Three experimental groups were manipulated Truthful group saw a real car theft video dip and truthfully wrote about what they actually saw. False group 1 saw the same car theft video clip but intentionally described the theft scene incorrectly. False group 2, saw a non-criminal neutral video clip and wrote as if they saw a car theft crime. Two raters scored SCAN total for each subject's statement applying Smith's(2001) 13 SCAN criteria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AN total scores between the truthful group and false groups, in which two false groups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SCAN scores than the truthful group a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alse groups. Four of 13 criteria significantly differentiated between the truthful and fals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CAN could be applied to witness statements written in Korean language although the statements were experimentally derived. But som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류승아(고려대학교) pp.169-183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10
초록보기
초록

문화는 개인의 심리적 발달과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며, 특히 개인이 자아(self)에 대한 인식을 규정하는 방식이나 자아존중감의 발달은 개인이 속한 사회의 문화적 성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은 자신이 속한 문화적 배경에서 긍정적으로 지지되는 성향에 의해 확장되는 것으로 규정하여, 각 개인이 속한 사회의 우세한 문화성향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대학생들의 수평-수직/개인주의-집단주의의 4요인 문화성향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자아존중감이 우세한 문화성향과 어떠한 상관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았으며, 그러한 상관관계의 타당성을 구조방정식 모델의 적합도 검사를 통해 확인해 보았다. 총 454명(224명의 한국 대학생과 230명의 미국 대학생)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고, 이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두 국가 모두 (1) 수평적 문화성향, 즉 수평-개인주의와 수평-집단주의 성향이 높게 나타났고, (2) 높은 문화성향을 보인 수평 요인들은 자아존중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여줌으로써 우세한 문화성향이 자아존중감과 의미있는 상관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3) 요인들 간 상관관계는 구조 방정식 모델을 통한 적합도 지수에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자아존중감의 개념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자아존중감과 문화성향의 관계를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는 여러 시사점들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Culture makes an important role on psychological developments and function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self-esteem have been influenced by the prevalent cultural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The improvement of our self-esteem could relate the value of the context we live. This study examined the 4 cultural characteristics (horizontal-vertical/individualism-collectivism) from th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U.S., and then looked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224 Korean and 230 American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demonstrated both countries showed (1) that horizontal-individualism and horizontal-collectivism had higher scores than vertical things; (2) that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self-esteem and two horizontal factors were found; (3) that SEM from each country was confirmed appropriate goodness-of-fit structures. Research findings woul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self-esteem concepts and provide various perspectives of the relations between culture and self-esteem.

고인정(성균관대학교) ; 최훈석(성균관대학교) pp.185-201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11
초록보기
초록

사회적 상호작용 장면에서 협동 및 경쟁 선택을 수반하는 선행 자기-조절 경험이 후속 자기-조절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참가자들은 최후통첩게임에서 자신의 사회적 가치지향성에 부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선택 행동을 취한 다음 후속 조절 과제를 집단 과제 혹은 개인 과제로 수행했다. 참가자들의 사회적 가치지향성은 분배 게임(Van Lange, Otten, De Bruin, & Joireman, 1997)에서의 선택에 따라서 협동주의자 또는 경쟁주의자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 가치지향성과 선행 조절과제에서의 선택행동, 그리고 후속 조절과제 수행상황 간의 3원 상호작용효과가 유의했다. 협동주의자들은 선행 조절 과제에서 경쟁 선택을 취한 후에 후속 조절 과제를 집단 과제로 수행했을 때 개인 과제로 수행했을 때보다 수행이 우수했다. 반면 협동주의자들은 선행 조절 과제에서 협동을 선택한 후 개인 과제 상황보다 집단 과제 상황에서 후속 과제 수행이 저조했다. 경쟁주의자들의 경우에는 선행 조절과제에서 경쟁을 선택한 조건보다 협동을 선택한 조건에서 후속 과제 수행 상황에 관계없이 모두 수행이 저조하였다. 또한, 선행 조절 과제에서 경쟁을 선택한 경쟁주의자들은 후속 조절 과제를 개인 과제로 수행했을 때보다 집단 과제로 수행했을 때 수행이 저조했다. 본 연구 결과를 자기-조절 강도 모형과 비교하여 논의하였으며, 연구의 의의 및 장래 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how cooperation or competition in a mixed-motive setting affects subsequent self-regulatory performance of individuals. In so doing, the authors predicted that an individual's choice behavior in a previous mixed-motive setting (cooperation vs. competition) would have an impact upon his/her subsequent self-regulatory performance depending on the nature of the subsequent task setting. They also predicted that the presumed interaction effect would be moderated by individuals' social value orientation. Participants first performed the Ultimatum Game during which they repeatedly cooperated or competed. Participants were then given a second regulatory task which was presented as either a group task or an individual task. The main dependent variable was the level of performance on the second regulatory task. Results revealed a 3-way interaction effect. Specifically, cooperators who had competed during the Ultimatum Game performed better in the group task condition than in the individual task condition. They also reported higher levels of psychological discomfort associated with their competitive behavior in the Ultimatum Game. Interestingly, cooperators who had cooperated during the ultimatum game performed better in the individual task condition than in the group task condition. In contrast, competitors who had cooperated during the Ultimatum Game showed poor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nature of the second task. In addition, they performed poorly in the group task condition compared to the individual task condition.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n light of ego-depletion in self-regulatory behavior.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 are also discussed.

김시업(경기대학교) ; 김기민(경기대학교) pp.203-220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12
초록보기
초록

과학적 내용분석(SCAN)은 진술서 내의 거짓된 구역(area)을 탐지하기 위해 고안된 기법으로 영어로 쓰여진 진술서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이들 준거들이 한국어로 쓰여진 진술서의 거짓 구역을 찾아내는 데 타당성이 있는가의 여부를 검증해 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은 가해자 집단과 피해자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각 집단에 따라 자신이 경험한 사건에 대해 처음에는 진실하게, 나중에는 거짓으로 진술서를 작성하게 하였다. 총 145명의 연구참여자 중 46명으로부터 얻어진 92개의 진술서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SCAN의 일부 준거들에 의해 탐지된 거짓 구역의 내용을 진실한 진술서와 대조하여 그 거짓 여부를 확인했을 때, 평균 61%의 수준으로 거짓 진술서 내 거짓 구역을 탐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의 종류(가해자 집단/피해자 집단)에 상관없이 진실한 진술서일 때보다 거짓된 진술서일 때 거짓 구역을 찾아내는 SCAN의 준거의 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SCAN의 특정 준거들이 거짓의 구역을 찾아내는 데 상당히 타당하다는 잠정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또한 추가적인 분석으로 진실/거짓 진술서 간의 진술량의 변화와 특정 준거의 존재에 관해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그리고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했다.

Abstract

Scientific Content Analysis(SCAN) is a technique to detecting deceptive areas in a written statements.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validity of the SCAN criteria detecting deceptive areas in a korean-written statements. The participants were 145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fender group VS victim group. Both groups were asked to write true statements about the incidents, then to make out untrue statements later about the same incidents. 92 statements written by 46 participant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SCAN criteria detected accurately(61%) deceptive areas in the untrue statements, and the numbers of the SCAN's specific criteria were significantly more in the untrue statements than in the true ones, no matter whether they were written by the offenders or victims. Besides, the amount of words in the untrue statement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rue statement.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challenge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